| 병원·약국(한의.약사)
  • 목록
  • 병원 사정으로 응급실서 내몰리는 외상환자들
  • 열악한 응급 의료 시스템과 응급실 환경이 피해 키워
  • [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 얼마 전 A씨(49세·남)는 꽁꽁 얼어붙은 빙판길을 걷다가 꼬리뼈를 다쳤다. 다음날 자고 일어나 보니 허리가 아파 꼼짝 할 수 없었던 그는 119 구급대의 도움으로 집 근처에 있는 종합병원으로 옮겨졌다.

    아침 8시경 응급실에 도착한 A는 중환자실 병상이 부족하고 때마침 정형외과 전문의가 자리를 비웠다는 병원의 통보를 받았다. 할 수 없이 A는 진통 주사 한 대만 맞고 타고 온 구급차에 다시 올라 동네 정형외과로 향했다.

    그가 찾은 1차의료 기관은 9시 반에 문을 여는 관계로 A는 추운 겨울 아침에 병원 문이 열릴 때까지 떨면서 기다렸다고 한다.

    이렇듯 겨울철 낙상으로 큰 부상을 입은 외상환자들이 응급실 병상 부족, 전문의 부재 등의 사소한 문제로 응급실에서 내몰리고 있다. 119 구급대를 이용해 급히 응급실로 옮겨진 환자가 병원의 사정으로 타병원으로 재이송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 외상 사망자 10명 중 3명은 응급의료 시스템으로 살릴 수 있어

    실제로 병원을 찾은 외상환자 중 응급실이나 입원실 병상 부족, 전문의 부재 등의 이유로 타의료기관으로 재이송된 건수가 지난 3년간 서울에서만 3965건, 경기도에서 6705건이라는 통계자료가 있다.

    또한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2007년에 61만3392명의 중증 외상환자가 응급실을 찾았으나 총 사망건수인 2만8359건 중 예방 가능한 건수는 무려 32.6%를 차지하는 9245건으로 추산되고 있다.

    결국 응급실에서 사망한 외상환자 10명 중 3명은 사망을 피할 수 있었지만 응급 외상진료 체계의 공백으로 안타까운 죽음을 맞았다는 것이다.

    ◇ 후진적 응급 의료 시스템과 열악한 응급실이 외상환자 사망으로 몰아

    이러한 실정을 두고 의료계는 중증 외상환자에 대한 적절한 대응 시스템 부재와 열악한 응급실 환경을 그 이유로 꼽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보건복지 전문위원 허윤정 위원은 “중증외상 진료는 병상효율이 낮다는 측면에서 민간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구조다”고 지적했다.

    즉 병원들이 응급 외상환자를 받을수록 병상회전율을 낮아져 병원의 적자 폭이 커진다며 응급환자 진료에 소극적인 상황인 것이다.

    게다가 의사와 간호사들은 응급실 근무를 기피하고 있고 응급상황 발생에 따른 병원 간 연계체계도 부실한 상황이다.

    부산대병원 응급의학과 염석란 교수는 국내 최초 외상전문센터인 부산대병원의 사례를 예로 들며 “현실적으로 적은 인센티브로 외상 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며 응급 의료를 전담할 인력이 턱없이 부족함을 지적했다.

    부실한 응급 의료 체계의 해결책으로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외상환자를 위한 적절한 응급 의료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윤 교수는 “복지부가 권역 외상센터 6개를 구축할 경우 전체 중증 외상환자의 65%정도를 진료할 수 있으며 권역 외상센터에 2대의 전용헬기를 운용할 경우 전체 중증 외상환자의 20% 정도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복지부, 응급 헬기 2대 도입했지만 적절한 정보전달 체계 시급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급증하는 등 응급 의료에 대한 수요가 해마다 크게 늘자 복지부는 중증 외상환자를 헬기에서부터 수술하는 ‘닥터 헬기’ 프로그램을 도입한 바 있다. 또한 응급 헬기 2대를 신규로 도입할 것을 2011년 신년 계획으로 선포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권역외상센터에서 외상 전문의와 간호사가 24시간 상주하며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할 것이고 헬기에도 응급 전문의와 간호사가 동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허윤정 위원은 ”현재의 분절적인 관리기전을 방치한 채 외상센터 지원, 헬기운영 보완을 위한 투자 등은 자칫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으로 자원낭비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정부의 무리한 자원 투자를 경계했다.

    이어 허 위원은 “신속한 중증 외상환자 진료를 위해 복지부, 소방방재청, 개별 의료기관의 정보가 효율적으로 전달 관리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 (jihe9378@mdtoday.co.kr)

    관련기사
      ▶ 송명근 교수 CARVAR 수술법, 美특허 등록
      ▶ 항생제 처방률 높은 의료기관, 진료비 가감지급 검토
      ▶ 늘어난 보험 대상, 피부과와 치과도 해당되나?
      ▶ 요양시설 촉탁의제도 개편, ‘전담의제’ 도입

    <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 건강 신문 ⓒ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검색제공제외
당번약국찾기
병원예약하기
건강상담하기
질병정보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