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건·사고(보건시사)
  • 목록
  • 이식용 장기구득 의료인 자격, 법으로 규정 ‘본격화’
  • 장기 등 이식에 관한법 개정안 고시…6월1일부터 시행
  • [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 이식용 장기를 구득할 수 있는 의료인과 그 업무에 대한 자격을 법으로 정했다.

    25일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이식용 장기구득에 대한 자격과 기준이 담긴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고시하고 오는 6월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이번 개정안의 목적은 그동안 규정이 미비했던 장기구득 전문 의료인의 자격과 업무를 법제화 시키는 동시에 장기구득기관 지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장기구득 전문 의사의 경우 장기이식수술 또는 뇌사자 진료와 관련된 분야에서 ‘5년 이상 진료한 경력이 있는 자’로 기준을 정했다.

    장기구득 의사는 의학적 사항에 대한 자문은 물론 간호사 업무에 대한 의학적 관리, 감독, 간호사에 대한 교육 및 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장기구득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자격과 업무도 설정됐다.

    의료기관에서 2년 이상 환자관리를 담당한 간호사 중 ▲장기구득기관에서 6개월 이상 뇌사자 관리 업무를 수행했거나 ▲뇌사판정대상자관리 전문기관에서 6개월 이상 업무 수행 경험이 있어야 한다.

    업무는 ▲뇌사추정자의 과거병력 조사 ▲뇌사판정신청 절차 지원 ▲뇌사자 가족의 장기기증(적출) 동의서 작성 지원 ▲장기 등 기증자의 시신 봉합 및 인도 등이 규정됐다.

    또한 의사의 위임 전제 하에 혈액검사, 소변검사, 세포면역검사, 영상학적 검사 등은 물론 정맥주입로 확보, 기도관리, 위장관 튜브 삽입 등의 일부 처치행위도 업무에 포함시켰다.

    실제 장기구득 전문 의료인 자격을 의료법과 동일하게 규정할 경우 장기구득 과정에서 유가족 등에 대한 예우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으며 기증문화 활성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복지부의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기증자가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 장기의 손상을 가져와 이식 불가능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기증되는 단계까지 장기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명확한 업무 부여가 필요한 점도 이유로 들었다.

    장기구득기관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무실, 전산장비, 긴급이송수단, 검사실 등의 시설은 물론 의사 1명 이상, 간호사 6명 이상, 행정직 1명 이상, 사회복지사 1명 이상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뇌사판정기관이 아닌 의료기관에서 뇌사판정을 받을 수 있는 규정도 마련됐다.

    뇌사판정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 뇌사판정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해당 의료인이 뇌사판정기관에게 신청을 해야하며 판정기관은 전문의사 2명 이상을 해당 의료기관에 파견하게 된다.
      메디컬투데이 허지혜 기자 (jihe9378@mdtoday.co.kr)

    관련기사
      ▶ 정신·지체 장애인, 비만율 상승
      ▶ 셋째 이상 낳으면 1000만원 지급, 출생률 크게 늘어
      ▶ 고령친화산업 육성 방안은(?)…전문가·관계자들 '머리맞대'
      ▶ 부산시 찜질방 13개소 적발…욕조에 대장균 '우글우글'

    <건강이 보이는 대한민국 대표 의료, 건강 신문 ⓒ 메디컬투데이(www.md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검색제공제외
당번약국찾기
병원예약하기
건강상담하기
질병정보찾기